美·中, 제네바 회담에서 'AI 위험' 논의 예정
[디지털비즈온 송민경 기자] 미국 조 바이든 대통령과 중국 시진핑 주석이 지난해 11월 캘리포니아에서 만났을 때 맺은 합의 중 하나를 실행에 옮기기 위한 인공지능에 관한 첫 공식 정부 간 논의를 14일(현지시간) 제네바에서 개최할 예정이다.
미국과 중국의 각 대표는 14일 제네바에서 만날 예정이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해 AI에 대한 경쟁을 심화시키는 와중에도 AI에 대한 안보 및 안전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합의한 회담을 시작한다.
미국 대표단에는 백악관과 국무부, 상무부 관계자들이 포함될 것이라고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가 13일 밝혔다. 바이든 행정부가 중국과 러시아와 같은 국가로부터 기술을 보호하기 위해 챗GPT와 같은 인기 챗봇을 구동하는 미국이 개발한 독점 AI 모델에 가드레일을 적용할 계획을 공개해 로이터통신 등 외신이 보도했다.
이번에 열리는 회담은 '결과물에 초점을 맞추지 않고' 기술로 인해 발생하는 위험을 어떻게 보는지에 대한 견해를 공유하는 자리일 것이라고 밝혔다. 토론의 주제는 AI 시스템과 관련된 새로운 위험과 양국이 "위험"과 "안전"을 정의하는 방법이다.
한 관계자에 따르면 양측은 위험 대응과 AI 안전에 대한 규범 및 원칙 설정에 대한 국내 접근 방식을 설명하고 국제 거버넌스에 대한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다. 또한 회담 이후 특정 결과물이나 공동성명은 따로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국과 중국은 AI 시스템의 위험성을 해소하고 안정성을 개선을 원하지만 서로 다른 우선순위를 가지고 있음을 회담 의제 설정을 위한 사전 논의를 통해 밝혀졌다.
워싱턴에 본부를 둔 싱크탱크인 중국-미국문제연구소(Institute for China-America Studies)는 "워싱턴의 주요 초점은 첨단 AI 모델, 특히 고위험 모델의 개발을 관리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은 "양자 대화가 AI의 협력적 발전에 초점을 맞추는 것을 선호한다"고 밝혔으며, 자국이 자체적으로 제어가능한 AI 기술을 개발해야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바이든 행정부는 챗GPT와 같은 인공지능 시스템의 핵심 소프트웨어인 최첨단 AI 모델에 가드레일을 설치할 예비 계획을 통해 중국으로부터 미국 AI를 보호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자 하고 있다. 폐쇄형 AI 모델의 수출을 제한하기 위한 규제를 추진하고 있으며, AI 칩과 칩 제조 도구를 제한하는 등 수출 통제를 통해 중국의 AI 개발을 억제하고자 했다.
모든 조치는 중국이 군사적 목적을 위한 첨단 기술 개발을 늦추기 위함이라고 공개됐기 때문에 이번 제네바 회담에 전세계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