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산업”… 바라보는 패러다임 전환과 변화의 원인
제조업 중심이던 자동차 산업이 플랫폼 기반의 모빌리티 산업으로 탈바꿈 미래 모빌리티 플랫폼의 출현 사회문제 해결 수요 증가, 모빌리티 기술 고도화 이동속도 증가 대비 비용 절감 수준의 기준 변
[디지털비즈온 김맹근 기자] 자동차 산업은 내연기관개인운전에서 전기동력자율주행으로 패러다임 전환을 맞이하고 있다. 자동차로 인해 유발되는 고질적인 사회환경적 문제가 기술혁신을 통해 해소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변화의 바람은 더욱 거세지고 있다.
다양한 동력원과 이동 구역이 확장하면서 기존의 자동차의 개념으로는 해석이 어려워 모빌리티(mobility)라는 용어가 등장하였다. 미래 모빌리티 산업에서는 모빌리티 플랫폼을 중심으로 각양각색의 이동수 단을 활용하여 다양한 수요를 충족하는 방식이 보편적인 모델이 될 전망이다.
자동차 산업 패러다임의 전환
제조업 중심이던 자동차 산업이 플랫폼 기반의 모빌리티 산업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자동차 산업은 기존의 제조판매 중심에서 나아가 플랫폼을 기반으로 다양한 서비스가 각양각색의 모빌리티에 탑재되어 제공되는 형태로 진화 중이다. 기술적 측면에서 연결성(Connected), 자동화(Automated), 전동화(Electrification) 기능을 구축한 모빌리티에 플랫폼 운영자, 서비스 공급업체가 모빌리티 서비스(MaaS : Mobility_as_a_Service)를 개발 및 탑재하여 제공한다.
미래 모빌리티 플랫폼에서는 플랫폼 운영과 모빌리티 응용서비스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전망이다. 기존에는 자동차 제조업체와 다양한 협력업체가 수직통합형 피라미드 구조를 바탕으로 자동차를 생산하고 판매하는 방식이 지배적이었다. 새로운 모빌리티 생태계는 플랫폼 운영자와 서비스 제공업체가 공생하며 수익을 창출하는 구조로 차량 제조는 서비스를 위한 공급수단이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한편 모빌리티 생태계로의 전환은 글로벌 기업들에게 신사업 기회로 작용한다. 미래 모빌리티 서비스 플랫폼은 안드로이드 또는 와 같이 특정 iOS를 중심으로 다양한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진화될 수 있다. 과거 글로벌 주요 IT기업들은 SW기술을 활용하여 스마트폰 생태계를 서비스 중심으로 재편한 전례가 있다.
현재는 각양각색의 모빌리티 서비스가 우후죽순으로 개발되어 시장에 출시되고 있으며 지배적인 모델은 부재한 상황이다.
변화의 동인
자동차 산업이 모빌리티 산업으로 전환하게 된 계기는 기존의 패러다임에서 해소되지 못한 고질적인 문제들을 기술혁신으로 해결할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그동안 도시로 인구가 집중하며 교통체증이 극심해지고, 자동차 사고가 갈수록 빈번해지는 등, 자동차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사회적 문제를 쉽게 해소하기 어려웠다.
자동차 배기가스는 미세먼지, 기후변화와 같은 환경문제를 유발하는 주요 요인이지만 별다른 해결방안이 마련되지 못한 상태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자동차의 전동화, 자동화, 연결성은 도로혼잡 교통사고, 환경오염을 기술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으로 부상하고 있다.
모빌리티의 자동화는 인간의 실수로 인해 발생하는 교통사고를 줄이고, 도로교통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교통혼잡을 최소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모빌리티의 전동화가 이루어지면 더 이상 배기가스를 방출하지 않으므로 지구온난화의 주범이라는 오명에서 벗어날 수 있다.
모빌리티 산업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변화의 동인을 살펴본다면 미래 모빌리티 플랫폼 산업을 선도하는데 필요한 전략적 방향을 가늠해볼 수 있다. 또한 미래 모빌리티 플랫폼 선도 전략을 세울 때 변화의 동인을 반영한다면 전략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다.
전반적으로 미래 모빌리티 플랫폼의 출현은 사회문제 해결 수요의 증가, 모빌리티 기술 고도화 이동속도 증가 대비 비용 절감 수준의 세가지 동인을 지렛대 삼아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세계 각국 정부의 탄소규제 및 친환경 자동차 산업 육성 정책은 미래 모빌리티 플랫폼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가속화하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