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 자동화”… 핵심 키워드

물류업계 움직임의 핵심은 '자동화' 턴키 솔루션 부상, 모듈형 생산 전환, 다양한 유형 협동로봇 등장, 로봇 수요 확대, 주문형 제품 제작 확산 5가지

2023-07-11     김맹근 기자
사진 : pixabay

[디지털비즈온 김맹근 기자] 물류 효율성 증대에는 복잡한 작업을 쉽고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자동화'가 관건이다. 유니버설 로봇은 2023년 물류 자동화의 핵심 키워드이다. 턴키 솔루션 부상, 모듈형 생산 전환, 다양한 유형 협동로봇 등장, 로봇 수요 확대, 주문형 제품 제작 확산을 제시하고 있다.

협동로봇은 인간과 근거리에서 함께 일하는 동료로 물류업체들로 하여금 까다로운 소비자 요구를 충족시키는 동시에 작업자에게 안전한 근로 환경을 제공하면서 그 중요성을 더해갈 전망이다.

작업 시간을 단축하고 비용을 줄여 효율성을 높이려는 물류업계 움직임의 핵심은 '자동화'이다. 덴마크 유니버설 로봇(Universal Robots)社는 2023년 물류 자동화의 핵심 키워드로이다. 턴키 솔루션(Turn-Key Solution) 부상, 모듈형 생산 전환, 다양한 유형 협동로봇 등장, 로봇 수요 확대, 주문형 제품 제작 확산 5가지를 제시했다.

턴키 솔루션 부상은 두 가지 이상 첨단 기술이 시너지 효과를 창출, 하드웨어에서부터 소프트웨어와 애플리케이션, 센서와 인터페이스 개발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신기술과 기존 기술이 결합되면서 자동화가 더욱 촉진될 전망한다. 실제로 덴마크 이네이블드 로보틱스(Enabled Robotics)社는 2016년부터 자율이동로봇(AMR)에 협동로봇을 결합해 창고 관리 및 병원 물류 시스템에 도입, 업무 생산성을 제고된다.

모듈형 생산 전환은 생산 공정 모듈화를 위해 산업용 로봇이 협동로봇으로 전환될 전망이다. 전통적 산업용 로봇은 무겁고 이동시키기가 어려워 특정 장소에 고정해야 하나 협동로봇은 상대적으로 작고 가벼워 배치가 쉬울 뿐 아니라 재구성도 가능, 모듈화에 용이하다.

다양한 유형 협동로봇 등장은 협동로봇에 대한 시장의 니즈가 커지면서 이를 충족시키는 다양한 유형의 모델들이 속속 선을 보일 것으로 예상한다. 협동로봇은 자재 취급, 조립, 픽 앤 플레이스 등 반복 적이고 힘든 작업을 대행, 포장과 팔레타이징 및 용접 등 분야에서 일하는 방식을 지속적으로 변화한다. 최근에는 프로그래밍에서 탈피한 AI 기반 로봇이 주목된다.

협동로봇은 인간과 근거리에서 함께 일하는 동료로 물류업체들로 하여금 까다로운 소비자 요구를 충족시키는 동시에 작업자에게 안전한 근로 환경을 제공하면서 그 중요성을 확대, 글로벌 협동로봇 시장 규모는 2026년 22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로봇 수요 확대는 협동로봇을 중심으로 물류로봇 로봇 수요가 증가, 로봇의 일상화가 계속될 전망이다. 국제로봇연맹(International Federation of Robotics, IFR)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과 2021년 사이 전 세계적으로 연간 로봇 설치가 2배 이상 증가한 가운데 2021년 산업용 로봇 설치는 전년 대비 31% 증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이다.

주문형 제품 제작 확산은 로봇 기업과 고객이 협력해 구체적인 솔루션을 개발하는 공동개발 프로젝트 가 인기를 얻을 전망, 자신의 요구사항을 로봇 회사에 전달할 수 있는 고객 목소리가 커지면서 주문형 제품 제작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관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