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서비스형 기계학습 시장 플랫폼

구글 GCP Vertex AI 아마존 AWS SageMaker 네이버 Tensorflow Server 및 CLOVA AI Service

2023-05-31     김맹근 기자
출처 : https://www.ncloud.com/product/aiService

[디지털비즈온 김맹근 기자] 현재 서비스형 기계학습은 국내외 클라우드 업체에서 서비스되고 있다. 해외 기업으로는 구글,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등이 대표적이며, 국내 기업 중에서는 네이버, LG CNS, 삼성 SDS 등이 기계학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본 절에서는 몇 가지 대표적 서비스형 기계학습을 제시하고 동향을 소개한다.

구글 GCP Vertex AI

구글의 클라우드 서비스인 GCP(Goog le Cloud Platform)에서는 2016년부터 GCPMachine Learning이라는 이름으로 기계학습 프레임워크를 서비스하였다. 최근에는 서비스를 확장하여 Vertex AI로 서비스명을 변경, 자사 인공지능 솔루션을 제공하는 서비스형 인공지능(AIaaS, Artificial Intelligence as a Service)으로 확장하였다. 전체 개발 단계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파이프라인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학습 과정에서는 시각처리, 자연어 처리 등 특정 기계학습 업무 영역에서 자동화된 기계학습(AutoML, Automated Machine Learning)의 지원으로 손쉽게 학습된 모델을 빌드할 수 있다. 학습 가속을 위해 구글이 개발한 NPU인 TPU(Tensor Processing Unit)를 사용했고, 기계학습 신뢰성을 위한 설명가능성 등이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제공되고 있다.

아마존 AWS SageMaker

아마존 SageMaker는 2017년도부터 아마존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인 AWS에서 서비스되는 MLaaS이다. 서비스 초기부터 사용자 친화적인 학습 프로세스와 사용 사례 등을 제공했으며, 현재는 학습 데이터 수집 및 준비, 구축(build), 훈련 및 튜닝, 배포 단계로 진행되는 전체 과정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는 개선된 통합 개발 환경(IDE,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머신러닝 개발 과정을 파이프라인으로 추적하고, 기존 빅데이터 서비스와 연동하는 등 대체로 GCP의 VertexAI와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추가로 아마존에서 개발한 학습된 모델(Trained ML model)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2021년 기준 문자 음성변환기(Text-tospeech) Polly, 챗봇 모델 Lex, 영상인지 모델 Rekognition, 텍스트 분석 모델 comprehend, 번역기 모델 transcribe를 서비스 중이다.

네이버 Tensorflow Server 및 CLOVA AI Service

\네이버에서도 자사 클라우드 서비스인 NAVER Cloud Platform에서 MLaaS를 제공하고 있다. Tensorflow Server라고 불리는 이 서비스는 주요 기계학습 분석 패키지인 Tensorflow, Keras, PyTorch 등을 쓸 수 있는 가상환경을 제공한다. 네이버는 MLaaS보다는 AIaaS에 집중된 서비스 생태계를 가지고 있다. 특히 자사 인공지능 플랫폼인 CLOVA로 다양한 기계학습 알고리즘 기반 학습 모델들이 제공된다.

인공지능 스피커로 유명한 자사 음성지능 솔루션을 포함하여 다양한 서비스가 그림 4와 같이 클라우드 환경을 통하여 서비스되고 있다. 2021년 현재 국내 환경에 적합한 음성과 언어 관련 서비스, 얼굴인식, 번역기, 이미지 처리 등 다양하고 세분화된 머신러닝 모델을 제공하는 것이 장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