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메타버스 관심 있는 국가는?

메타버스에 긍정적인 나라 1위 베트남, 최하위 아일랜드

2023-03-20     이호선 기자
크립토데이터 웹사이트 '코인 킥오프(Coin Kickoff)'가 세계 각국의 SNS와 검색엔진을 분석한 조사에서는 메타버스에 대한 소비자의 주목도와 반응은 국가마다 크게 다르게 나타났다.(사진=Coin Kickoff)

[디지털비즈온 이호선 기자] 지난 2022년 11월 30일 미국의 인공지능 기업 오픈에이아이(OpenAI)가 ‘챗GPT(ChatGPT)’를 시장에 내놓았다.

'챗GPT' 등장 이후 산업계 전반에서 AI의 존재감이 커지고 있는 반면, 메타버스는 크게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

크립토데이터 웹사이트 '코인 킥오프(Coin Kickoff)'가 세계 각국의 SNS와 검색엔진을 분석한 조사에서는 메타버스에 대한 소비자의 주목도와 반응은 국가마다 크게 다르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트남을 필두로, 동남아시아 각국의 소비자가 메타버스에 대해 호의적인 의견을 가지고 있으며, 부정적인 인상을 가지고 있는 나라는 구미 각국으로 조사결과가 나왔다.

◇Facebook, 가상공간 '메타'로 사명 변경

2021년에 페이스북 ceo인 마크 저커버그는 브랜드 재구축과 메타버스에의 포커스를 반영시켜, ‘메타’라는 사명을 채용한 것으로, 메타버스에 대한 주목은 세계적으로 높아졌다.

메타사의 전략에 대한 평가는 다르지만, 메타버스 자체는 2023년 현재도 계속 주목을 받고있는 분야가 되고 있다.

올해 초 Facebook은 Covid-19 대유행 동안 사용자 기반이 급증한 후 시가 총액 1조 달러(약 1300조 원)에 도달한 세계에서 여섯 번째 회사가 되었다.

맥킨지의 보고서에 따르면 이 분야에는 최소 1200억 달러가 조달되고 있으며, 2030년까지 5조 달러의 가치를 창출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미국 컨설팅 회사 가트너의 조사에서도 2026년까지 25%의 사람이 하루 1시간 이상 메타버스에 소비하게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크립토데이터 웹사이트 '코인 킥오프(Coin Kickoff)' 조사

크립토데이터 웹사이트 '코인 킥오프'의 조사에서는 이러한 메타버스에 대한 관심의 정도나 긍정적 또는 비판적인 지역을 조사하기 위해 160만 건의 트윗과 가장 인기 있는 19종류의 메타버스 관련 서비스 및 192개국에서 메타버스 관련 키워드에 대한 Google 검색을 AI 감정 분석 도구 HuggingFace를 사용하여 분석했다.

Hugging Face는 기계 학습을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는 프랑스 회사이다.

동남아시아권이 관심의 높이와 긍정적인 의견으로 눈에 띄게 되었고, 메타버스에 긍정적인 나라로는 베트남, 필리핀, 우크라이나, 나이지리아, 인도네시아가 톱 5에 랭크 되었다.

반면 메타버스에 대한 반대 의견이 많았던 것은 구미 국가이며 톱 아일랜드에 덴마크, 뉴질랜드, 미국, 캐나다로 이어졌다.

자료에서는 동남아지역이 메타버스에 관심도가 높았다. (Coin Kickoff)

◇메타버스에 가장 긍정적인 나라 ‘베트남’

자료에서는 메타버스에 대해 가장 긍정적인 나라는 베트남으로 메타버스에 관한 Twitter 게시물의 약 56.8%가 긍정적인 게시물이었다.

베트남의 이 결과의 배경에 있다고 생각되고 있는 것은, 베트남은 게임과 핀테크를 핵심으로 하는 신흥 기술 클러스터 덕분에 메타버스에서 혁신을 주도할 수 있는 주요 기회가 있는 지역 중 하나였다.

동남아 전역을 중심으로 인기를 얻고 있는 크립토 게임 액시 인피니티(Axie Infinity)의 본거지는 베트남이며, 베트남 기업 SkyMavis사에 의해 2018년에 릴리스 되었고, 2022년 초 최소 250만 명의 플레이어 기반을 보유했다.

한국에서도 이미 발빠르게 P2E 게임 생태계 메타플래닛(Meta Planet)은 지난 연말 베트남 하노이에서 개최한 ‘2022 한국-베트남 간의 블록체인 기술 투자’ 행사에 한국 메타버스 게임사 대표로 참석하며 베트남 게임 시장 진출 초읽기에 들어갔다.

베트남 블록체인 협회는 2022년 3월에 공식 출범했다. 이 협회는 블록체인 기술의 연구, 테스트 및 적용을 촉진하기 위한 경험과 자원을 공유하여 베트남의 성공적인 국가 디지털 전환 및 디지털 경제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온라인 게임은 이미 메타버스의 요소를 도입하고 있는 것도 많아 앞으로도 이 경향은 계속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관측하고 있다.

◇필리핀, 태국에도 블록체인 게임의 급속한 수요 증가

필리핀 사람들은 1,000명당 2,421 건의 Google 검색 으로 메타버스에 가장 관심이 많았다.

코인 킥오프의 조사에서도 메타버스에 긍정적인 10개국 중 5개국이 동남아시아에 있어 이 지역이 증강현실기술에 긍정적인 인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멀티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인 VM웨어(VMware)가 실시한 조사 'Digital Frontiers 4.0'에서도 필리핀 소비자의 55%가 메타버스의 존재를 인식하고 있으며, 그 영향에 대해 낙관적이고 43%가 '사회에 선호하는 것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필리핀에서는 지난해 10월에 정보통신기술성 주최의 글로벌 블록체인 정상회담이 개최되어 Web3, NFT, 메타버스 등에 대해 논의되는 등 국가를 꼽아 메타버스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메타버스에 가장 부정적이었던 나라 ‘아일랜드’

자료에서는 메타버스에 가장 부정적이었던 나라가 된 아일랜드에서는 부정적인 트윗이 14.4%였다.

부정적인 의견이 많은 국가 톱 10은 아일랜드와 덴마크에 이어 뉴질랜드, 미국, 캐나다, 노르웨이, 스웨덴, 영국, 브라질, 남아프리카, 브라질 이외에는 영어권과 스칸디나비아 국가들에 차지했다.

코인 킥오프는 전 세계의 메타버스 감성에 대한 관심을 분석하기 위해 수동 조사와 관련 사이트를 기준으로 가장 인기 있는 19개 메타버스 플랫폼의 시드 목록을 바탕으로 메타버스에 대한 온라인 관심도를 측정하기 위해 인구 1,000명당 각 지역의 누적 검색 횟수를 계산했다고 밝혔다.

한편 아트월드의 메타버스 창립자이자 에릭 프린스 는 이 결과에 대해 현실의 생활수준이 높은 나라일수록 가상 현실인 메타버스에 대한 기대도는 낮고 회의적으로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