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산업 금융 핀테크⑨-2] “핀테크” 기술로 새로워진 시장
핀테크 기업, 새로운 분야 진출로 다양화 핀테크 투자 및 M&A 활성화 기반 서둘러야 신산업으로서 지속적인 핀테크 붐업 정책 필요
핀테크 기업, 새로운 분야 진출로 다양화
[디지털비즈온 김맹근 기자] 국내 핀테크 업계는 해외 주요국 대비 핀테크 M&A 제약 등 적극적인 투자 여건이 조성돼 있지 않다는 점이 성장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게다가 최근엔 빅테크의 독과점 이슈로 강화된 금융소비자법 부담까지 빅테크와 똑같이 떠안게 돼서 더욱 여건이 어려워졌다는 평가다. 이에 따라 어려운 환경 타개를 위해 성장성 있는 새로운 핀테크 분야로 진출하는 핀테크 기업들이 늘고 있다.
대표적 분야 중 하나로 BaaS(Bank as a Service)를 들 수 있다. BaaS는 라이선스를 가진 은행이 라이선스 없는 핀테크나 스타트업 등 제3자에게 은행 관련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이를 통해 은행은 아이디어와 창의력 있는 업체(예: 핀테크)로부터 새로운 고객과 수익을 창출하게 되며, BaaS를 받은 제3자는 은행 라이선스 없이, 은행에게 요구되는 대자본과 인력 없이, 새로운 서비스 창출의 기회를 얻게 된다. 한마디로 서로 윈윈인 셈이다. 오픈뱅킹과의 차이을 보면, 오픈뱅킹은 제3자에게 API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되, ‘읽기 전용’만 가능한 반면, BaaS는 여기서 한 걸음 나아가 읽기 외에 ‘쓰기 권한’까지 허용해준단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BaaS에선 오픈뱅킹과 달리 은행에 없는 서비스도 핀테크 등 제3자 업체가 개발, 제공할 수 있다. 미국의 민트, 디지트 등이 선발업체이며, 우리나라에선 아이콘루프, 더존비즈온이 핀테크 업계에서 대표적이다. 대형 업계에선 토스와 카카오페이, 네이버 파이낸셜과 우리은행이 제휴를 맺고 BaaS를 개시하고 있다.
보안이나 컴플라이언스 부문에서의 진출 확대도 눈에 띈다. 비대면 거래가 갈수록 증가함에 따라 해킹, 위변조방지를 위한 보안이나, 위법 여부에 대한 신속한 체크 및 알림 기능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아톤, 센스톤, 티이이웨어 등의 보안업체와 옥타솔루션, 큐비어스, 알체라 등의 레그테크 업체들이 시장의 관심을 끌고 있다.
핀테크 투자 및 M&A 활성화 기반 서둘러야
민간 핀테크 업계의 노력과는 별개로 정책적으로는 어떤 방안이 필요할까?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핀테크지원육성법을 서둘러 제정해야 한다. 이는 금융사, 빅테크와 핀테크 업계의 공통된 의견이다.
마이데이터라는 금융플랫폼 기반 하에 최초의 융합신산업이 만들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치열한 경쟁과 단기간 내 경쟁력 제고와 시장 성장을 담보하려면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인프라로서 특히 투자와 M&A에 유연성을 높여주는 것이 중요하다.
디지털 플랫폼에선 무한경쟁의 위험이 높고, 상위권 몇 개사만 살아남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언제든 피인수를 통해 투자 회수할 수 있는 수단이 있어야 기업도 투자자도 적극 참여해서 경쟁력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 않으면, 처음부터 대형사 중심으로만 틀이 짜이기 때문에 독과점에 쉽게 빠지며, 또한 치열한 경쟁을 통한 경쟁력 제고도 어렵게 된다.
특히 핀테크업체에 대한 M&A 주포라 할 수 있는 은행 등 기존 금융사의 핀테크 M&A에 대한 인식도 적극적으로 바뀌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 평가다. 이는 카카오뱅크의 상장 시가총액이 40조 원 내외로 KB국민은행, 신한은행 시가총액의 더블로 충격을 주면서 뚜렷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신정부 수립 후 핀테크지원육성법 등 법적·제도적 기본 인프라가 마련되면 올해 후반부터 핀테크 M&A의 큰 장이 열릴 거라는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법·제도와는 별개로 우리 사회의 전반적인 M&A에 대한 부정적 인식도 개선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는 M&A를 산업 성장의 측면이 아닌 ‘구조조정’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해외에선 M&A가 외형 확장과 경쟁력 확보의 중요 수단으로 인식하는 것과는 상당한 인식의 차이다. 따라서 국내 기업들이 정부 지원은커녕 규제에 발목이 잡혀 시대 변화에 따라가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신산업으로서 지속적인 핀테크 붐업 정책 필요
핀테크의 지속성장을 위해 일관성 있는 핀테크 붐업정책과 그에 걸맞은 생태계 인프라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전문가들은 신산업으로서의 핀테크 ‘지속가능성’에 방점을 두고 미흡한 생태계 인프라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다.
우선 성장단계별로 핀테크 투자를 활성화하되 특히 시장실패 또는 취약 영역이라 할 수 있는 창업 초기 단계 투자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영리를 추구하는 민간 시각에선 수익모델이 명확하지 않고 회수 기간도 긴 창업 초기의 핀테크에 대한 투자를 꺼릴 수밖에 없다. 그만큼 창업 초기 핀테크의 경우 시장 실패 또는 시장 취약영역이라 정부의 정책 개입이 필요하다.
또 경험 많고 역량 있는 벤처캐피털 투자를 유도하기 위해 허들레이트(Hurdle rate)의 대폭 인하, 성과보상배율 제고도 검토할 만하다. 또 기존 금융사와 핀테크의 협력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은행 등 기존 금융사들은 최근 빅테크와의 금융플랫폼 전쟁을 선포할 정도로 위기의식이 강하다.
따라서 소자본이지만, 기술력과 아이디어로 무장한 핀테크 업체 협력은 윈윈 전략이 될 수 있다. 금융사와 핀테크 업체 공동의 혁신금융서비스에 대해 가점을 주는 것도 한 방안이다.
다음으로 중요한 것이 기술인력 지원이다.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인프라 기술은 금융플랫폼과 마이데이터 사업 성패를 좌우하는 핵심 요소다. 이들 기술인력 수요가 급증하고, 빅테크, 대형 금융사간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기술인력의 빅테크·대형 금융사으로의 쏠림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
금융플랫폼시대, 금융과 비금융의 융합이 대세다. 특히 소비자들이 흥미를 갖고 있는 분야와의 융합이 금융 경쟁력 제고에 중요하다. 따라서 부동산(프롭테크), 의료 헬스(메디테크), 교육 분야(에듀테크)와 핀테크의 연결 및 지원방안 마련을 통해 핀테크 및 금융플랫폼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
앞으로 스마트폰 시장뿐 아니라 사물인터넷 기반 핀테크, 헬스케어, 위치기반 서비스 산업 등에서도 신종 해킹이나 개인 정보 유출 위험에 대응하기 위한 보안 기술로 생체인증 기술에 주목하고 있다. 또한 업무 효율과 시민들의 편의를 위해 교통, 치안 및 공공 서비스에서도 활용이 늘어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