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0가지 4차산업 기술 트렌드 동향’(下)

마이크로 LED, 가전 및 자동차 디스플레이용 급증예상. 5G 스마트폰, 폴더블 폰 등장 메타버스로 AR/VR 제품 상승 5G FWA의 대규모 상용화

2022-11-10     이호선 기자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결합해 만든 ‘마이크로 AI 프로세서’가 각 장면에 최적화된 디테일과 밝기를 적용해 최적화된 HDR(High dynamic Range) 영상을 구현한다.(사진=삼성전자)

[디지털비즈온 이호선 기자] 대형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마이크로LED가 매년 3배씩 성장해 2026년 글로벌 매출이 45억달러(약 5조 3500억원)에 달할 것이라 전망했다.

시장 조사 기관인 트렌드포스(TrendForce)는 2023년에 기술 산업의 다양한 부문에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10가지 주요 트렌드를 발표했다. 주요 트렌드중 일부는 한국의 미래 시장을 예측하듯 동일하여, 트렌드포스의 자료를 참조하여 4차산업의 기술 트렌드를 정리해본다.

◇마이크로 LED, 가전 및 자동차 디스플레이용 급증예상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마이크로 LED가 급증하는 3 가지 주요 이유를 설명했다. 2022년 미니 LED 백라이트 디스플레이의 총 출하량은 약 1,680만대로 전년 대비 74% 증가할 것이며, 이 중 TV 애플리케이션이 브랜드의 가장 큰 투자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된다.

첫째는 Mini LED 기술은 LCD 명암비를 향상시키는 최고의 솔루션이라 했다. 둘째는, 제한된 OLED 생산 능력으로 인해 2023년에는 평면 TV의 95% 이상이 LCD 기술을 계속 사용할 것으로 예상한다.

Mini LED는 LCD TV가 사양을 개선하고 제품을 한층 세련되고 멋진 최상의 경로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중국 제조업체들은 Mini LED 제품의 업스트림, 미드스트림 및 다운스트림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다고 내다봤다.

셋째는, 제조업체는 수량별 가격 책정 전략을 통해 더 높은 비용 효율성을 사용하여 TV 시장에서 Mini LED 백라이트 보급은 가속화 될 수 있다고 예측했다.

신에너지 차량(NEV)에서 보다 강력한 디스플레이 효과를 추구하고 디지털 기기를 사용하려는 경향에 자극을 받아 미니 LED 백라이트도 NEV에서 사용 확대가 된다고 예고했다. 2023년에는 약 300,000개의 Mini LED 자동차 디스플레이가 출하될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연간 약 50%의 증가율을 높은 수치다.

마이크로 LED 마이크로디스플레이는 LED 산업 전반에 걸쳐 견고한 기술 기반을 마련했다. 스마트 워치 웨어러블은 고가의 피트니스 트래커를 기점으로 2023년 마이크로 LED 포스트-라지 디스플레이의 다음 양산 애플리케이션이 될 것이다.

투명 AR 스마트 글라스에 마이크로디스플레이를 적용한다는 점에서 초소형(5um 이하) 마이크로 LED는 풀 컬러 솔루션과 적색광 칩의 외부 양자 효율과 같은 어려운 과제를 먼저 극복해야 하지만 개발을 가속화 될 수 있는 있다고 전망했다.

LG디스플레이가 공개한 12인치 풀 컬러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의 모습. 늘리기, 접기, 비틀기 등 어떤 형태로도 자유롭게 변형이 가능하다.(사진=LG디스플레이)

◇5G 스마트폰, 폴더블 폰 등장

스마트폰 진화의 관점에서 하드웨어 사양 개선에 앞서 초점이 맞춰져 왔다. 그러나 최근 몇 년 동안 혁신이 감소함에 따라 스마트폰 브랜드는 소프트웨어 알고리즘과 비디오 알고리즘 분야에서 광학 거물인 칼자이즈 및 라이카와의 파트너십 등 브랜드 간의 차이점을 강조하는 것 외에도 이 전략은 주변 서비스를 증가시켜 수익 측면에서 윈-윈을 나타나는 추세라 했다.

2023년에는 5G 스마트폰의 비중이 공식적으로 50%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전에 따라 2022년 OLED 폴더블폰 보급률은 1.1%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스마트폰 브랜드들이 새로운 플래그십 폴더블 기기를 잇따라 출시하고 사양 개선과 가격 경쟁력 강화에 힘입어 보급률은 2020년 1.8%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2023.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소비 심리가 부진하고 폴더블 폰이 주류가 된 시장에서 발전성이 있다고 예측했다.

◇메타버스로 AR/VR 제품 상승

메타버스는 브랜드 제조업체들이 AR/VR 제품 개발에 대한 투자를 가속화하고 2023년에 더 많은 제품을 출시하도록 촉구할 것으로 에상된다.

플랫폼을 통해 AR/VR 제조업체는 가상 커뮤니티, 게임, 가상 캐릭터(VTubers)의 라이브 스트리밍과 같은 응용 프로그램에 중점을 둘 것이며, 상업용 원격 회의 및 원격 교육은 2D 비디오보다 메타버스 플랫폼을 통해 더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및 상호 작용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매타버스는 또한 Micro OLED, MiniLED 및 Pancake 렌즈와 같은 새로운 디스플레이 및 광학 부품의 채택도 늘어날 추세다.

작동은 또한 원래 컨트롤러 구성에서 이미지 인식 또는 웨어러블 장치 애플리케이션으로 발전하여 인체 데이터 분석을 통해 자연스러운 인간-기계 인터페이스를 달성하기 위해 더 많은 이미지 감지 및 MEMS 구성 요소를 설치하게 될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AI 응용 프로그램 및 컴퓨팅 성능의 지원을 받는 가상 시뮬레이션은 기업 및 정부 운영 비용을 줄이고 메타버스의 채택 및 인기를 가속화하려는 의지를 높일 것으로 내다봤다.

5G + FWA구성도. (사진 =daum cafe UHDTV User Forum)

◇5G FWA의 대규모 상용화

5G 고정무선접속(FWA)는 가정 및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할 수 있고 더 큰 대역폭과 더 낮은 대기 시간 연결을 제공하므로 고정 광대역 연결의 대안이 되었다.

5G FWA는 유선 대신 무선으로 각 가정에 초고속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현재 전 세계 45개 이상의 국가 및 지역에서 83개 사업자들이 3GPP 호환 5G FWA 서비스를 시작다.

통신운영자는 네트워크 연결과 전체 광범위한 생태계의 향후 개발을 보장하면서 가능한 가장 낮은 총 소유 비용(TCO)으로 데이터를 제공해야 한다.

2023년에는 전 세계 사업자들이 광대역 건설 개발에 투자했다. 또한 규제 기관은 무선을 유선 연결의 대안으로 보고 있다. 사업자들은 FWA 서비스 확대,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 제공 가속화, 무선통신 기술을 통한 전송률 개선 등도 검토하고 있다.

5G FWA 서비스 배포에는 시장 출시 기간이 단축되고 비용이 절감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는 5G 기술을 통합하여 더 짧은 시간에 고속, 저지연 광대역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여러 주파수 대역에서 새로운 스펙트럼을 제공하고 점차적으로 가족에게 더 저렴해지는 서비스는 2023년 5G FWA 개발의 원동력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