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산업 메타버스65] “메타버스”… 중국 디지털 경제 동향.정책.응용 분야

중국 메타버스 동향 중국 메타버스 주요 업체 중국 메타버스 정책과주요 응용 분야 메타버스 새로운 기회로 5G, 클라우드, 디지털 트윈 등 정착할 수 있는 활로

2022-10-28     김맹근 기자
사진 : pixabay

[디지털비즈온 김맹근 기자] 메타버스는 기술적 관점에서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블록체인, 인공지능과 같은 첨단기술의 집약체이며, 산업적 관점에서 인프라(5G, 6G,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하드웨어(VR HMD, AR글래스, 반도체, 디스플레이), 소프트웨어 및 콘텐츠(개발엔진, 인공지능, 디지털트윈), 플랫폼(로블록스 등)과 매우 높은 연관성을 갖는다.

중국은 전략 형 신흥산업 육성을 위한 XR 확대 정책을 중앙정부가 펼치고 있으며, 지방정부별로 지역 맞춤형 XR 산업 육성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베이징·난창·허베이 등 중국 동부지역에 VR·AR 산업단지가 조성되어 XR 체험부터 창업 생태계 조성까지 XR 산업 발전을 위한 폭넓은 지원을 추진 중이다.

중국 메타버스 동향

중국 메타버스의 원년은 2021년으로 중국 빅테크 기업이 메타버스 관련 기업을 인수하고, 관련 실험실을 구축하며 메타버스 플랫폼을 출시하기 시작했다. 메타버스가 중국에서 높은 관심을 받은 배경으로 클라우드․AI․블록체인․VR/AR 등 일련의 기술 성숙, 코로나19 출현으로 비대면 문화 형성 가속화, 미래 디지털 산업 발전에 대한 긍정적 전망, 2020년 가상화 사회로의 진입 등을 들 수 있다.

중국은 소비와 산업이 모두 왕성하게 이뤄지는 국가로, 메타버스도 소비(2C)와 산업(2B), 2개의 경로에서 모두 빠르게 성장 중이며, 메타노믹스로 더욱 발전 전망이다. 중국 메타버스 시장 규모는 2021년 약 443억 위안에서 2025년에는 4,500억 위안까지 늘어나 약 10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이다. 중국 빅테크 기업을 중심으로 메타버스 투자 및 인수가 활발하며, 주로 게임과 클라우드 분야에 이뤄지고 있다.

중국 메타버스 주요 업체

텐센트는 세계 최대 게임회사로 메타버스 활용이 가장 활발하다. 세계 최대 샌드박스 게임사 Roblox에 5.2억 달러를 투자하였으며, ‘All Real Internet (全真互联网)’의 개념을 제시하면서 2021년 첫 메타버스 프로젝트 ‘Zplan’을 가동했다.

알리바바는 물류+금융+클라우드 컴퓨팅 3가지 기술 및 전자상거래 활용 우위이다. 알리바바는 메타버스 기술 중 클라우드 컴퓨팅 방면에서 강점을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트래픽과 알고리즘에서 우위, XR실험실을 구축하는 등 VR/AR/XR에 투자 활발하다.

넷이즈는 중국 2대 게임사로, 자체 3D 엔진 개발로 메타버스 적용 추진중이다. AI실험실을 구축하고, 세계 최초로 모바일 게임 가상공간에서 AI회의를 개최하였으며, 2021년에는 하이난 정부와 협업하여 ‘메타버스 기지 구축’ 계획을 발표했다.

바이두는 세계 최대 검색엔진 기업으로 빅데이터 분야에서 우위이다. 2021년 바이두는 메타버스 플랫폼 ‘시랑(希壤)’을 공개하였으며, 풍부한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어 AI, VR 등 기술과의 접목으로 더욱 발전 기대한다.

바이트댄스는 중국 대표 숏클립 동영상 기업, VR기업 인수로 하드웨어까지 확대되었다. 2021년 VR기기 제조사 Pico를 인수하면서 하드웨어까지 확대하였으며, 메타버스 기술 보유기업 투자로 기반을 구축했다. 또한 자체 메타버스 플랫폼 2개를 출시했다.

중국 메타버스 정책

중앙정부는 메타버스의 시장 과열을 우려하면서도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을 위해 첨단산업 육성은 피할 수 없는 선택으로 민간협업 메타버스 생태계 구축 모색한다. 지방정부는 메타버스에 대해 기지 건설, 연구개발 등 구체적 정책 제시, 시장 선점 추진한다.

상하이는 최초의 메타버스 포함 정부보고서 발표, 혁신 기술개발과 응용에 집중한다. 베이징은 혁신 기술과 콘텐츠 개발로 메타버스 산업 발전 모색, 메타버스 산업공간 건설한다. 항저우는 세계 최초 메타버스 도시 구축 추진, 메타버스 관련기업 풍부하다. 하이난은 민간과 협업, 메타버스 산업기지를 구축하여 글로벌 문화콘텐츠 중심으로 육성한다. 우한은 2022년 정부보고서에 메타버스 육성 포함, 실물경제와의 융합 강조하고 있다.

메타버스 주요 응용분야

오픈월드 게임은 메타버스 구조에 가장 근접한 게임으로 중국 게임산업 발전의 새로운 동력이 될 것으로 보이며, 샌드박스 및 RPG 게임에 주로 적용한다. 가상인간은 메타버스 응용이 가장 다양하게 일어나는 분야로, 소비산업과 융합하여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IT공룡기업이 아낌없이 투자중이다. 디지털 트윈은 메타버스가 산업과 연계한 분야로, 중국정부에서 적극적으로 연구 개발하며 육성 중이며, 스마트시티 및 제조 등 활용률 점차 증가세이다.

NFT는 메타버스 콘텐츠 현금화를 가능하게 한 매개물로, 중국 브랜드 기업은 NFT를 활용하여 마케팅에 활용하고 있으며, 최근 ‘디지털 수집품(数字藏品)’으로 불리며 서비스 중이다. XR은 XR산업은 메타버스 시장이 확대되면서 탄력을 받고 있으며, XR기업에 대한 투자도 증가세이다. XR산업은 제조, 건강, 문화, 교육 분야에서 응용 증가 중이다.

따라서 메타버스는 중국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에 새로운 동력으로, IT․콘텐츠 기업에게는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고 있으며, 5G, 클라우드, 디지털 트윈 등이 정착할 수 있는 활로이다. 메타버스는 산업과 소비에서의 응용이 미래 발전의 관건이며, 산업은 스마트제조 정책, 소비는 마케팅과 연계하여 메타버스 응용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