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틱톡' 급 성장한 성공 요인은 ?
인플루언서 마켓허브. 뮤지컬리(Musical.ly)의 합병이후 사용자수 급증 하버드 비즈니스, 틱톡의 SSP 전략 씨로켓리서치랩, 틱톡의 성공요인 3가지 언급
[디지털비즈온 이호선 기자] 틱톡은 Z세대를 넘어 더 넓게 확대되도록 공격적인 마케팅을 진행하고 있다.
‘틱톡’은 장위밍이 2012년에 설립한 IT 기업 바이트댄스가 소유하고 있는 글로벌 숏폼 비디오 플랫폼이다. 3초에서 10분까지 동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 짧은 음악, 립싱크, 댄스, 코미디, 탤런트, 챌린지와 같은 영상을 제작 및 공유할 수 있는 동영상 공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다.
틱톡이 급 부상하면서 성장 이유를 해외 인플루언서 마켓허브(Influence MarketingHub)와, 하버드비지니스(Harvard Business) 국내 씨로켓리서치랩 자료를 통해서 틱톡의 성공요인을 조명해본다.
◇인플루언서 마켓허브, '21년 미국에서 가장많이 다운로드된 SNS앱
인플루언서 마켓허브(Influence MarketingHub) 에서는 틱톡 2021년 기준으로 미국에서 가장많이 다운로드된 SNS앱 이라고 극찬했다.
인플루언서 ‘테크스낵’은 틱톡은 작년에 미국에서만 약 9,400만회 더운로드 되었고, 2등은 메타의 인스타그램으로 6,400만회 다운로드 했다고 밝혔다. 주목할 만한 것은 3등인데 스냅챗이 최초로 페이스북을 밀어내고 3위 자리를 차지했다고 설명했다.
마켓허브에서는 틱톡의 급부상 이유는, 뮤지컬리(Musical.ly)의 합병이후 사용자수가 급증하였고, 바이트댄스는 2016년 9월에 새로운 앱인 더우인(Douyin)을 출시하여 200일 만에 앱을 개발했으며, 1년 만에 1억 명의 사용자를 확보했으며 하루에 10억 개 이상의 동영상을 시청했다고 말했다.
바이트댄스는 2017년 11월 9일에 뮤지컬리를 10억 달러에 근접할 것으로 예상되는 비공개 금액에 인수했다. 틱톡은 이를 이미 뮤지컬리가 장악하고 있는 미국 10대 시장으로 확장하는 방법을 이미 전망했다고 언급했다.
틱톡은, 뮤지컬리 인수이후 맴버들은 단순한 음악과 찡그린 모습이 아닌 변화된모습의 동영상들 즉 독특한 춤, 요리, 마술, 애완동물과 놀기, 코미디 촌극 재연 등 다양한 콘텐츠가 담긴 영상을 업로드한 것이 이용자들에게 정확한 타켓이 되었고, 인기있는 앱이 되었다고 설명했다.
◇하버드 비즈니스, 틱톡의 ‘SSP 전략’ 강조
하버드 비지니스리뷰에서는 바이트댄스(ByteDance)가 ‘세계에서 가장 가치 있는 스타트업이 된 방법’을 제목으로 다루었다.
내용을 살펴보면, 세계에서 가장 가치 있는 스타트업인 바이트댄스는 성장을 위한 기록을 깼다. 2021년, 150개국에서 월간 19억 명의 활성 사용자와 110,000명 이상의 직원 기반을 가진 이 회사는 놀라운 580억 달러의 수익을 기록했다.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전 세계적으로 30억 번 이상 다운로드 된 히트 단편 비디오 앱 틱톡을 통해서만 회사를 알 수 있는데, 이는 메타와 그 앱 제품군이 능가하는 위업이다.
그러나 바이트댄스는 실제로 큰 성공을 거둔 제품을 잇달아 출시했는데, 그 중 첫 히트작인 현재 3억 2천만 명의 월간 활성 사용자가 있는 중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뉴스 앱인 투티아오(바이트댄스가 소유한 인기 뉴스 및 정보 콘텐츠 플랫폼의 공식 앱) 와 틱톡 이전의 짧은 동영상 앱인 더우인(TikTok의 중국 버전 애플리케이션)이 활약이라 하면서, 투티아오와 더우인은 각각 회사 전체 광고 수익의 20%와 60%를 차지했다고 설명했다.
자료에서는 ‘SSP 전략’을 강조했다. 이러한 전략에는 5가지 주요 특징이 있다고 소개하면서. 첫 번째로는 ‘폭넓은 탐구’ 개척으로 12개의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앱과 2015년 해외 시장 기회를 테스트하기 위한 20개의 앱을 출시하였으며, 단편 비디오 제품을 인큐베이팅 했다. 2018년과 2020년 사이에 이 회사는 11개의 서로 다른 업종에 걸쳐 적어도 140개의 앱을 앱 스토어에서 사용할 수 있었다.
두 번째로는 ‘빠른반복’ 전략으로 회사가 교육용 앱을 출시하는 데 4개월이 걸렸을 뿐인데, 경쟁업체들이 출시하는 데 18개월이 걸렸을 수도 있다고 했다. 그러나 신제품 출시와 동시에 바이트댄스 는 성능이 떨어지는 제품을 종료하고 관련된 제품 팀을 해체하거나 재구성 하는 전략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세 번째로는 ‘선택적초점’ 전략으로 선별된 우선순위에 핵심 자원을 할당한다는 것으로. 첫 3년은 뉴스 앱인 투티아오의 성공과 관련된 텍스트 및 사진 콘텐츠 실험이 지배적인 반면, 2016년은 짧은 비디오로 피벗을 표시했다.
3년간의 실험 끝에 바이트댄스는 7개 시장 부문에서 11개 이상의 다양한 제품을 출시하며 교육 사업 성장을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 이러한 노력은 정부의 불리한 규제로 인해 2021년에 중단되었지만, 선별된 중점 영역 내에서 광범위하게 실험하는 회사의 전략을 보여주었다.
네 번째는 ‘최대 공정 능력 교차’를 강조했다. 예를 들어, 한 팀이 인사 기회를 탐색할 때, 인터뷰 기록 및 재개 스캔을 포함하여 SSP 알고리즘 팀이 구축한 AI 기술을 통합할 수 있었다.
이 회사의 스마트 교육 기기 중 학생을 기록하고 평가, 분석할 수 있으며 학부모와 튜터가 자녀의 숙제를 원격으로 감독할 수 있는 스마트 과제 램프도 음성 인식, 시각 인식, 검색 등 SSP 기능을 활용했다고 설명했다.
다섯 번째는 ‘플랫폼 서비스 제품화’ 로 공유 서비스는 종종 새로운 기능으로 시작되지만 라이브 스트리밍에서처럼 실제 또는 예상된 여러 제품에서 사용이 증가하면 SSP 수준으로 높아진다. 많은 알고리즘 제품을 포함한 회사의 공유 서비스 중 일부는 외부 클라우드 제품으로 판매된다고 밝혔다.
◇국내 씨로켓리서치랩, 틱톡의 성공요인 3가지 언급
씨로켓리서치랩 에서는 틱톡이 글로벌 시장에서 큰 성공을 거두고 있는 이유는 크게 세 가지로 요약했다.
첫번째는 ‘명확한 타깃층과 포지셔닝’ 전략으로 틱톡의 가장 큰 성공 요인은 글로벌 시장에서 새로운 소비자 그룹으로 부상하고 있는 Z세대에 집중했다. 틱톡은 근본적으로 10대와 20대 초반 사용자에 최적화된 플랫폼으로, 모든 사용자의 콘텐츠가 자연스럽게 노출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두번째는 ‘콘텐츠 최적화’ 전략으로 틱톡은 모바일로만 접속할 수 있는데 이는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 다른 경쟁 플랫폼과 큰 차별점이다. 바이트댄스에 따르면 전체 틱톡 이용자 중 66%가 스스로 영상을 제작하고 업로드한다고 설명했다.
세번째로는 ‘효과적인 글로벌 마케팅’ 전략을 손꼽았다. “틱톡은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미국에 설립한 법인을 통해 글로벌 콘텐츠 트렌드를 파악했다.
이는 다양한 콘텐츠 관련 기업 인수와 투자로 이어지고 있다. 동영상과 사진 제작 앱인 플리파그램을 인수했고, 라이브 스트리밍 앱인 라이브미에도 전략적 투자를 진행한 것이 주요 사례“라고 요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