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과학기술 최강국 도약할까…과학 논문수 세계 1위
中자연과학 논문 美 제치고 세계 1위 등극 과학 논문 순위, 한국이 일본 보다 우위
[디지털비즈온 최유진 기자] 중국은 지식 집약적 부문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구축하고 있으며 2050년까지 과학 및 혁신 분야의 글로벌 리더가 되기 위해 자연과학 분야 논문과 관련된 3가지 주요 지표에서 모두 미국을 제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문부과학성의 학술정책연구소 보고서에 따르면 자연과학분야의 연구논문과 관련된 대표적인 3가지 지표, 총논문수, 톱논문수(연구자에 의한 인용횟수가 상위 1%), 주목논문 수(연구자에 의한 인용 횟수가 상위 10%), 모두 중국이 1위가 되었다고 일본 아사히, 닛게이신문 등 이 8월 10일 밝혔다.
‘과학기술지표 2022’에 따르면 2018~2020년 세계에서 인용이 많이 된 상위 10% 논문의 숫자는 한국이 11위, 일본이 12위를 기록했다. 한국은 10년 전 조사(13위) 보다 두 계단 올라간 반면, 일본은 6위에서 10위로 하락하면서 두 국가간 순위가 역전됐다.
인용 빈도가 상위 1%인 논문 수에서는 아직 일본(10위)이 한국(12위)보다 우위를 지켰다. 하지만 10년 전에 비하면 일본은 당시 7위에서 순위가 내려갔고, 한국은 14위에서 12위로 올라갔다.
중국의 총논문수는 40만 7181개. 2위인 미국의 29만 3434개에 10만개 이상의 차이를 보였고, 톱 논문수로는 중국이 27.2%. 미국의 24.9% 로 나타났다.
해당 보고서는 문부성 과학기술·학술정책연구소가 영국 리서치 회사 클래리베이트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주요국의 자연과학 논문 숫자 등을 분석한 것이다. 2018~2020년 3개년치를 평균으로 집계했다.
◇미국 국립과학재단(NSF) 톱 10 순위
한편 미국 국립과학재단(NSF)에 자료에 의하면 ‘과학논문’ 수 에서도 중국은 미국을 20만건 이상 웃돌았다. 1위는 ‘중국’ 669,744건 2위는 ‘미국’ 455,856건 3위는 ‘인도’ 149,213건 4위는 ‘독일’ 109,379건 5위는 ‘영국’ 105,564건 6위는 ‘일본’ 101,014 7위는 '러시아' 89,967건 8위는 '이탈리아' 85,419건 9위는 '한국' 72,490건 10위는 '브라질' 70,292건으로 나타났다.
◇기술대국 중국, 사람과 연구비 집중 투자
미국 국립과학재단 자료에서는 중국은 2050년까지 미국과 나란히 '과학기술 강국'이 되려고 사람과 연구비를 전략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중국은 연구 개발비로는 5,828억달러(한화 약 750조 원)로 미국에 이어 2위로 나타났다.
연구자 수는 이미 중국이 미국 보다 많다. 중국은 2,281,134명으로 1위, 2위는 미국으로 1,586,497명, 3위는 일본으로 689,889명, 4위는 독일 451,859명, 5위는 한국 446,739명 으로 나타났다.
중국은 GDP에서 차지하는 연구 개발 비용 측면에서 유럽 연합을 능가하며 이미 미국과 거의 같은 수의 과학 출판물과 자연 과학 및 공학 박사 학위를 더 많이 양성하고 있다고 외신들이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