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산업 인공지능㊽-1] “인공지능 기술”… 도입은 선택인가 필수인가
전 세계 기업들 제품 및 서비스 개발에 인공지능 기술 응용 인공지능 기술 분류와 기업 성과 자동화 인공지능은 기업의 단기적 매출 원가를 낮추고 있다 증강 인공지능은 기업의 장기적 시장 가치를 높이고 있다
[디지털비즈온 김맹근 기자] 인공지능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보급률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 된다. 특히, 복잡하고 반복적인 작업을 대신 수행하고, 나아가 구조화되지 않은 데이터에서 새로운 인사이트를 도출하여 인간 노동자를 보완할 것으로 기대되면서, 전 세계 기업들이 제품 및 서비스 개발에 인공지능 기술을 응용하려는 시도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IBM의 ‘글로벌 AI 도입지수 2021년’에 따르면 미국, 중국, 영국, 독일, 프랑스 등의 기업 3분의 1이 현재 실제 비즈니스에서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고 응답했으며, 절반은 인공지능 기술의 도입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러한 세계적 흐름과는 대조적으로, 한국의 기업들은 인공지능 기술 개발과 도입에 다소 미온적인 태도를 보인다. 클라리베이트(Clarivate)와 카이스트가 분석한 인공지능 동향을 살펴보면, 한국 기업들은 인공지능 분야에서 개발 속도는 빠르지만 양질의 기술 혁신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여전히 많은 기업이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불확실함을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도입에 필요한 높은 비용을 지불하기 꺼리고 있다. 심지어, IT강국이라는 위상에 맞지 않게 도입하지 않은 대다수 기업은 앞으로도 인공지능 기술을 도입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인공지능 강국으로의 길은 먼 나라 이야기로 보인다.
인공지능 기술 분류와 기업 성과는 인공지능 기술은 크게 자동화 인공지능(Automation AI)와 증강 인공지능(Augmentation AI)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먼저 자동화 인공지능은 복잡하고 반복되는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인간의 도움 없이 데이터를 이동하고 다루고 처리하는 모든 과정을 수행한다.
기존의 로봇에서 센서와 네트워크 인프라를 통합하여 더 고도화된 자동화 기능을 담당한다. 이를 활용하여, 인간 노동자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반복된 일을 수행하여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반복된 일을 담당하던 노동자를 새로운 업무에 배치하여 전략적으로 중요한 업무에 집중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증강 인공지능은 인간의 의사결정을 도와주는 역할(Semi-Autonomous)을 한다. 구조화되지 않은 데이터를 분석하고 인사이트를 도출하여 인간 노동자에게 업무 수행에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콜센터에서는 음성 인식을 활용하여 고객의 대화를 저장하고 분석하여 고객 맞춤형 응대가 가능하게 하는 것이 하나의 예이다. 기업은 이러한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의사결정 과정을 향상할 수 있으며,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도출할 수 있다.
자동화 인공지능은 기업의 단기적 매출 원가를 낮추고 있다. 단기적인 성과로 이익과 관련된 총자산이익률(Return On Assets, ROA), 자기자본이익률(Return on equity, ROE) 등을 살펴보았으며, 비용과 관련된 매출원가(Cost Of Goods Sold, COGS), 운영비용(operating expenditure) 등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인공지능 기술 도입은 단기적인 기업의 성과로 이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인공지능 기술 도입을 통해 이익을 증가시키거나 제품 생산 및 개발과 관련된 비용을 줄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없었다. 다만 인공지능 기술을 세부적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을 때, 인공지능별로서도 다른 경영 성과를 가져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증강 인공지능은 기업의 장기적 시장 가치를 높이고 있다. 장기적인 재무 성과로는 토빈의 q(Tobin’s q)를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토빈의 q는 전통적인 투자 변수에 시장가치(e.g., 주가)를 반영한 것으로 기업의 미래 가치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 분석 결과, 인공지능 기술을 도입한 기업은 도입하지 않은 기업보다 더 높은 토빈의 q를 보였으며, 도입 후 4년 동안 약 19.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해석하면, 인공지능 기술의 도입이 당장 성과로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보다는, 선제적으로 도입하여 관련된 경험과 노하우를 습득하고 이를 인공지능 시장이 좀 더 구체화되었을 때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더 좋은 경영 성과를 창출해낼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미국 기업의 인공지능 기술 도입은 기업의 성과를 높이고 있다. 미국 기업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된 결과를 요약하자면, 자동화 인공지능을 도입한 기업은 단기적으로 매출원가를 줄이는 성과를 얻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증강 인공지능을 도입한 기업은 단기적인 비용 감소와 이익 증가는 없었지만, 장기적으로는 더 높은 기대치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