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6G 미래기술·비전개발 도약하는 통신강국 정립”

과기부, 국제전기통신연합 국제표준화 선도 6세대(6G) 미래 기술 트렌드 보고서 개발 완료 삼성전자 6G포럼, 인터페이스와 6G지능망 소개 웨어러블은 미래기술

2022-06-26     이호선 기자
(사진=영화 아이언맨 스틸컷 이미지합성) 

[디지털비즈온 이호선 기자] 영화 아이언맨 에서 주인공 토니 스타크 는 한쪽 눈에 웨어러블 기기를 착용하고 3차원 홀로그래픽 영상으로 이뤄진 증강현실 속에서 손동작만으로 자신의 업무를 수행한다.

미래에는 3D 홀로그래픽 영상 서비스부터 끊기지 않는 가상현실(VR) 및 증강현실(AR) 서비스나 널리 보급되고, 드론이나 자동차에서 자율주행이 보편화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전망했다.

◇과기부, 6G 미래기술 트렌드보고서 개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스위스 제네바에서 개최된 제41차 국제전기통신연합 이동통신작업반(ITU-R WP5D) 회의에서 한국의 6세대(6G) 비전과 미래 기술 연구에 대한 6세대(6G) 미래 기술 트렌드 보고서 개발을 완료했다고 26일 밝혔다.

그동안 국제전기통신연합(ITU: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는 6세대(6G) 목표 서비스, 핵심 성능 지표와 표준화 작업 일정을 담은 표준화 청사진에 해당하는 6세대(6G) 비전(‘23.6월)을 제시하고, 이에 따른 6세대(6G) 국제표준(‘30.6월) 개발을 추진해왔다.

한국은 6G 미래 기술 트렌드를 연구하는 실무그룹의 공동 의장국으로, 국내 6세대(6G) 연구개발 전략과 산·학·연의 신기술 수요를 반영하여, 미래 기술 동향을 제시했다.

특히, 인공지능 기반 서비스, 센싱-통신 협력 기반 서비스 등 다양한 6세대(6G) 서비스 시나리오가 논의 중인 가운데, 진화된 무선접속 기술(인공지능 융합 통신, 센싱 융합 통신, 전이중 통신 등), 무선 네트워크 기술(디지털 트윈 지원, 커버리지 확대, 통신-컴퓨팅 융합 등) 등은 향후 6세대(6G) 목표 서비스와 요구 성능을 정의하는 6세대(6G) 비전에 반영될 전망이다.

◇삼성전자 6G포럼, 인터페이스와 6G지능망 소개

한편 삼성전자는 ‘삼성 6G 포럼’에서 ‘6G 무선 인터페이스’, ‘6G 지능망’ 2개 세션을 5월13일 진행하였고, 삼성리서치 연구소장 승현준 사장은 인사말에서 “6G는 다양한 분야의 서비스들을 융합시킬 수 있는 핵심 기술로, 6G가 구현할 미래 모습은 △초광대역 △초저지연 △초지능화 등의 특징을 가질 것”이라고 소개하고, “6G 연구개발의 적기는 바로 지금”이라고 강조했다.

포럼에서 미국 텍사스대 오스틴의 제프리 앤드류스(Jeffrey Andrews) 교수는 딥러닝을 통한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 향상 연구 과정을 소개하면서 “5G뿐만 아니라 6G에 머신러닝을 성공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무선 통신과 머신러닝 두 분야의 이해가 필요하고, 이와 더불어 양질의 연구 데이터 확보를 위해선 산업계와 학계가 같은 목표를 갖고 협력하는 게 필수”라고 말했다.

퀄컴(Qualcomm Technologies, Inc.)의 존 스미(John Smee) SVP는 “미래엔 더 다양한 유형의 기기가 통신 네트워크에 사용될 것이며 이런 기술이 보다 고도화된 증강·가상현실(AR·VR) 서비스에 쓰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6G가 가져올 초연결 시대 근간엔 무선기기들이 뒷받침돼야 하므로, 이러한 무선 생태계를 보다 광범위하게 학습하고 탐색할 필요가 있다”며 “클라우드와 같은 기술 분야에서도 6G가 가져올 가능성을 눈여겨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과기정통부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 김정삼 국장은 “우리나라는 국제전기통신연합의 미래기술 및 6세대(6G) 비전 논의를 주도하여 글로벌 6세대(6G) 주도권을 확보해 가고 있다”고 밝히고, 6세대(6G) 비전이 글로벌 6세대(6G) 연구개발, 주파수 확보, 표준화, 상용화 등에 가이드를 제시하는 만큼, “6세대(6G) 비전 선도가 Pre-6세대(6G) 기술 확보와 6세대(6G) 표준 선점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국제표준화를 위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사진/순서대로= 구글 글래스, 엡손 Moverio BT-200, Liquid image OPS 고글, 스마트 워치, CuteCircuit 스마트 드레스, Ravijour 스마트 브래지어)

◇웨어러블은 미래기술

웨어러블 기술의 미래의 발전은 무궁무진하여 10년 후, 20년 후에 얼마나 발전될지 어떤 제품과 서비스로 출연할지, SF 영화에 나오는 꿈의 슈트 이상의 제품으로 구현될지 흥미 진지하다.

웨어러블 기술(Wearable Technology)은 정보통신 및 데이터기술(IT& Data Tech), 기계공학기술(Mechanical Tech), 바이오-생체기술(Bio-Health Tech), 첨단재료기술 (Material & Nano Tech), 에너지기술(Energy Tech) 등 첨단기술들의 융복합체인 것이다.

다가오는 미래의 언젠가는 현재에 불리는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라는 용어는 거의 인간이 착용하는 모든 것 의류, 악세서리, 각종 의료기기, 산업 및 군사 장비 등에 기본적으로 각종센서와 프로세서, 통신기능과 인공지능적 요소가 융합 초소형화(Converged Ultra-Minimized)내장되어 우리 생활 속에서 스며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