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환경제기획⑪] 인도네시아 폐기물 자원순환은 시작단계

2022-06-11     이호선 기자
인도네시아 휴양지인 발리섬에 노출된 플라스틱.(사진=Jakarta Post)

[디지털비즈온 이호선 기자] 인도네시아는 2021년 기준으로 년간 약 780만 톤의 플라스틱 폐기물을 생산함으로써, 세계 최대의 플라스틱 폐기물 생산국 중 하나가 되었다. 그중 490만 톤 이상의 이 플라스틱은 강과 바다로 흘러들어 인도네시아를 세계 2위의 해양 플라스틱 오염국으로 전락시켰다.

월드뱅크자료에 의하면 인도네시아에서 매년 약 780만 톤의 플라스틱 폐기물이 발생하며 정부와 지역 사회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도시 거주자의 40%는 여전히 기본적인 쓰레기 분리수거를 못하고 있으며, 농촌 지역에서 발생하는 플라스틱 폐기물의 약 85%는 공식적으로 수거되지 않았다.

또한 매년 490만 톤의 플라스틱 폐기물이 제대로 관리되지 않아 개방된 쓰레기 매립장과 제대로 관리되지 않는 매립지에 버려지는 폐기물로 인해 문제가 발생했다.

또한 현재 육지 기반 소스에서 해양 환경으로 누출되는 연간 플라스틱 파편의 83%가 강을 통해 운반 및 배출된다는 것도 조사결과 확인됐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폐기물 관리에 대한 대중의 행동과 지식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전략적 교육캠페인을 촉진하면서 법적 틀을 강화하고 2025년 까지 "Reduce, Reuse, Recycle" 개념을 추진하기 시작했다.

◇인도네시아 도시고형폐기물(MSW)은 지속적으로 증가 예상

2.6억 명의 세계 4위 인구 대국인 인도네시아는 인구 증가와 환경에 대한 낮은 인식 수준, 지속적 경제 개발 활동으로 향후 폐기물 발생량은 증가할 것으로 월드뱅크는 예상했다. 2025년 MSW 발생량은 약 7,130만 톤, 2040년 1인당 폐기물 발생량은 2019년 대비 38%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신혼여행지 발리, 오·폐수관리 심각한 현실

한국인 치고는 발리에 안가본 사람이 없을 정도로 인도네시아의 발리는 인기있는 관광지역이다. 아시아개발은행(ADB)에 따르면 현재 인도네시아에는 구체적이고 포괄적인 폐수 관리 규정이 없다고 밝혔다.

인도네시아는 가정용 폐수, 농업 폐수, 산업 폐수, 부족한 폐기물 관리로 인해 지표수와 지하수가 오염되고 있고, 인도네시아는 아시아 지역에서 하수와 하수처리 시설 부분에서 낮은 점수를 기록하고 있다고 한국 환경산업기술원은 보고서에서 이처럼 밝혔다 .

인도네시아에서는 매년 1000명중 300명이 콜레라, 설사, 장티푸스와 같은 수질관련 질병을 겪고 있는 실정이라 밝혔다.

◇2025년까지, 폐기물의 3R 30%, 폐기물 관리·처리 70% 목표

2017년 인도네시아 정부는 증가하는 폐기물량을 감축하기 위하여 폐기물 관리를 위한 국가 전략에 대한 대통령 규정(PR No. 97/ 2017)을 발표했다. 해당 전략은 2025년까지 매립시설에 축적되는 폐기물량을 감축하고 폐기물로 인한 환경오염의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발생하는 폐기물의 3R(재활용(Recycle), 재사용(Reuse), 감량화(Reduction)) 비율을 30%, 폐기물 관리·처리 비율을 70%로 확대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정부는 2018년부터 순환 경제 개념을 도입하여 폐기물의 재활용 및 자원화를 위한 정책적 기반을 마련하고 2019년 4월 폐기물에너지화(Waste To Energy, WTE) 시설 건립 규정을 수립, 2022년까지 12개의 WTE 시설을 통해 하루에 1만 6,000톤의 폐기물 처리와, 최대 234MW의 전력을 생산하겠다는 계획도 내놓았다.

인도네시아는 독일 정부로부터 1억 달러의 대출을 받아 자바 지역 (Malang, Jambi, Jombang, Sidoarjo, Pekalongan)에 중앙 쓰레기 매립장도 건설한다.

인도네시아 스타트업 기업인 BantuBumi가 플라스틱을 수거,파쇄한 제품을 선별해놓은 원재품.(사진= BantuBumi) 

열악한 쓰레기 관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21년에 설립된 BantuBumi는 현재 그레이터 자카르타의 17개 폐기물 수집가 및 폐기물 은행과 협력하여 버려진 플라스틱을 수거한다. 이 스타트업은 음료및 물병과 같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와 식품 용기 및 플라스틱 컵을 만드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PP)의 두 가지 유형의 플라스틱을 수거 파쇄 하여 재활용 회사에 판매된다.

월드뱅크는 보고서에서 인도네시아 정부가 폐기물 수집 범위를 개선하고, 플라스틱 폐기물이 바다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로 및 배수로의 기존 구조물 사용을 최적화하고, 도시지역의 지하수 오염에 대한 사항을 지적하며, 플라스틱 소비를 줄이기 위한 순환 경제를 촉진하고, 폐기물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모니터링 및 개선할 것을 권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