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시장 경쟁력 강화 “서비스로봇 국제표준 채택”
‘서비스 로봇의 소프트웨어 모듈용 정보모델’ 표준안 채택 국제 신규작업표준안 채택 기술위원회 통과
[디지털비즈온 조성훈 기자] 서비스 로봇이란 기존의 산업용 로봇이 제조업 환경에서 작업하던 것에서 응용분야가 확장되어, 공항안내, 식당, 가정용, 의료용, 국방, 농업용 등과 같이 전산업 분야로 확장된 형태의 로봇을 말한다. 서비스 로봇은 개인서비스 로봇과 전문서비스 로봇으로 분류된다.
우리나라가 서비스 로봇 기술을 선도하고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서비스 로봇 산업 발전을 좌우할 핵심 국제표준 선점에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이상훈)은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로 국제표준화기구(ISO)에 제안한 ‘서비스 로봇의 소프트웨어 모듈용 정보모델’ 표준안이 신규작업표준안(NP, New Proposal)으로 채택됐다고 15일 밝혔다.
우리나라는 신규작업표준안 채택 여부를 묻는 기술위원회 투표에서 영국, 일본, 중국 등 회원국 대다수의 찬성을 이끌어내며 서비스 로봇 분야 핵심 국제표준 선점의 첫 관문을 통과했다.
서비스 로봇은 필요한 기능에 따라 모듈을 탈부착 할 수 있는 조립식 장난감과 같은 모듈식 로봇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소비자가 원하는 기능을 레고를 조립하듯 손쉽게 추가·변경하고 모듈을 결합해 새로운 로봇을 개발할 수 있으며, 모듈별 제작업체 전문화를 통해 개발·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가 제안한 국제 표준안이 바로 서비스 로봇에 사용되는 모듈의 통합과 재활용을 용이하게 하고, 모듈 간 호환성을 높이기 위한 정보 제공 방법을 규정하는 소프트웨어 표준이다.
로봇 모듈의 호환성에 직결되는 모듈용 소프트웨어 입출력 변수, 안전 및 보안 관련 표현 방법, 모듈 간 상호 연결 방법 등을 제시하고 있다.
강원대학교와 경희대학교가 공동으로 국가기술표준원의 국가표준기술력향상사업을 통해 국제 표준안을 개발했으며, 강원대학교 박홍성 교수가 국제 프로젝트팀 리더를 맡아 국제표준 제정 절차를 이끌어 갈 예정이다.
이 표준은 로봇이 다양한 조합과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향후 우리나라가 서비스 로봇 기술 개발을 선도하고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는 디딤돌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훈 국가기술표준원장은 “우리나라가 그간 로봇 산업에서 축적한 기술력과 경험을 바탕으로 서비스 로봇 소프트웨어 분야에서도 국제표준을 선도할 수 있게 됐다”면서, “이처럼 미래 산업의 경쟁력을 좌우할 핵심 국제표준을 선점하여 성장지향형 산업전략 추진에 이바지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자료에 의하면 2020년 기준 국내 로봇 시장은 5조5000억원 규모이며, 연평균 5.4% 성장 추세다. 서비스로봇 시장은 전년 대비 34.9%가 증가한 8000억원 규모로 연평균 6.4% 성장하고 있다. 근로자 1만명당 로봇 활용 대수를 뜻하는 로봇밀도는 우리나라가 932대로 세계 1위를 차지하고 있고, 판매량 기준으로 세계 4위 수준의 산업용 로봇 시장 규모다.
또한 산업부는 2008년에 제정한 '지능형 로봇법' 시행 이후 세 차례에 걸쳐 '지능형 로봇 기본계획'을 수립, 국내 로봇산업 육성정책을 마련했다. 로봇활용 표준공정모델 개발 및 중소제조 공정혁신을 위한 제조업용 로봇 보급, 정부 주도 서비스로봇 초기시장 창출, 로봇핵심기술 R&D 등을 추진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