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용의 물류전쟁 이야기] 물류에서 “RPA” 활용 분야를 살펴보자
RPA는 인간의 단순 ‧ 반복 작업을 소프트웨어 로봇 팬데믹으로 재택 근무가 일상화, 지자체와 기업 등 RPA 도입 필요성 증대 물류에서 RPA는 신속·정확한 재고관리, 주문 경로 자동 생성, 자동 추적 통한 운송 가시성 확보, 리포팅과 피드백 자동화 등 물류기업 경쟁력의 근간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 (RPA)란 Robotic Process Automation의 줄임 말로사람이 수행하던 규칙적이다. 반복적인 업무 프로세스를 소프트웨어 로봇을 적용하여 자동화하는 것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빠르고 정확하게 업무를 수행하는 디지털 노동을 의미한다. 물리적 로봇이 아닌 Software Program으로 사람이 하는 Rule Base 업무를 기존의 IT 환경에서 동일하게 할 수 있도록 구현한다. S/W Robot이 하는 일은 시스템 로그인, 문서 생성 및 쓰기, 화면조회, 특정셀의 데이터를 읽고 쓰고 계산하기, 이메일 보내기 등 매우 단순하나, 이러한 단순 업무가 사무직 업무의 30~50% 이상 차지한다.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RPA)는 인간의 단순 ‧ 반복 작업을 소프트웨어 로봇이 대신하는 대표적 기술 솔루션 이자 초자동화를 구현하는 핵심 요소 기술이다. 물류에서 RPA는 신속·정확한 재고관리, 주문 경로 자동 생성, 자동 추적 통한 운송 가시성 확보, 리포팅과 피드백 자동화 등 실현을 한다.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Robotic Process Automation, RPA)는 인간이 수행하는 단순하고 반복적인 작업을 소프트웨어 로봇이 대신하는 대표적 기술 솔루션이자 초자동화(Hyper automation)을 구현하는 핵심 요소이다. RPA 활용은 (1단계) 아날로그 정보 디지털화 → (2단계) 디지털 정보 기반 업무 개혁 → (3단계) 업무 개혁 통한 비즈니스 변혁을 이루는 디지털 전환(DX)과 동시 진행 → (4단계) 인간과 기계를 다른 사람이 분별할 수 없는 수준 이다.
RPA와 DX에서는 이전 데이터 활용이 중요, 1·2 단계를 확실하게 해 둘 필요하다. RPA는 대기업을 중심으로 사무 처리 등 정형 업무 자동화를 위해 도입하려는 움직임이 확산, 기술력으로 무장한 RPA 벤더들이 출현하면서 도입 사례 급증하고 있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재택근무가 일상화, 지자체와 기업 등 RPA 도입 필요성 더욱 증대하고 있다.
물류에서 RPA는 신속·정확한 재고관리, 주문 경로 자동 생성, 자동 추적 통한 운송 가시성 확보, 리포팅(Reporting)과 피드백 자동화 등 실현(신속·정확한 재고관리) 신속하고 정확한 재고관리는 물류기업 경쟁력의 근간이 된다.
구매 및 유지, 업데이트를 자동화해 업무 시간 단축 및 수작업 오류 예방, 상품 공급자에게 재고 상태를 실시간으로 알리고 대응 지침을 제시하는 작업도 가능(주문 경로 자동 생성) 주문 이행은 최적 경로를 통해 소비자가 희망하는 상품 조합을 전달하는 데 목적, 주문 이행을 반복적으로 계획할 때 RPA 유용하다.
주문 이행 시 복수의 RPA 시스템을 활용할 경우 물류 효율성은 더욱 제고(자동 추적 통한 운송 가시성 확보) 운송 확인 절차를 간소화, 자원을 다른 핵심 업무에 투입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고객은 자동 추적 과정에서 제공되는 정보로 배송 시간을 예측하고 지연 여부 등 확인(리포팅과 피드백 자동화) 대다수 기업에 디지털화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대표적 부분이다. 물류기업은 화물관리를 비롯한 여러 부분에서 분석 등 리포트를 관계자들에 보낼 수 있고, 예측된 상황에 대해서는 피드백을 자동 전달한다.
RPA는 AI 및 빅데이터와 결합해 기업의 통찰력 창출과 효율적 의사결정을 뒷받침, 그러나 DX가 시스템에 접목되어야 하고, 심층 분석을 통해 자동화가 가능한 프로세스를 찾아야 하며, RPA 활용을 통한 효율화 이점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단순한 도입 확대 뿐 아니라 기업의 생산성 향상과 업무 효율화가 어떻게 실현되는 지에 대한 업무 흐름 분석이 중요하다. RPA는 24시간 연중무휴로 가동 가능, 직원들이 단순·반복 작업에서 벗어나 고부가가치 업무에 전념함으로써 만족도와 함께 기업 수익이 높아지는 부수 효과도 창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