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5대 영향은 “수자원관리·해양환경보전·기후보건·자연재난대응·식량공급” 필요
'국가미래전략 Insight' 에서 ‘기후변화 5대 영향 영역과 적응입법’ 아젠더를 통해서 분석 기후변화 영향에 관한 키워드 분석결과 기후변화 영향에 관한 토픽 분석결과
[디지털비즈온 이호선 기자] 기후변화 영향은 기상 변화 및 자연재난, 해수면 상승 등의 1차적인 영향이 자연환경과 인간의 삶에 연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도미노 현상과 같아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영향 사슬 초반 또는 파급력이 높은 영향에 연결된 고리를 끊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미래연구원(원장 김현곤)은 '국가미래전략 Insight' 에서 ‘기후변화 5대 영향 영역과 적응입법’ 아젠더를 통해서 분석결과를 발표했다.
◇기후변화 영향에 관한 키워드 분석결과
기후변화는 기후 및 자연환경의 변화뿐만 아니라 인간의 삶의 다양한 영역에 장기적으로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는 현재진행 중인 현상이며 그 영향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미래사회의 중요한 위험요소다.
기후변화의 영향은 나비효과와 같이 끝도 없이 퍼져나갈 수 있기 때문에 간접적인 영향을 모두 포함하다 보면 사회 정책 전부를 포함할 수 있었다.
기상 변화 및 자연재난, 해수면 상승 등의 1차적인 영향이 자연환경과 인간의 삶에 연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도미노 현상과 같아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영향 사슬 초반 또는 파급력이 높은 영향에 연결된 고리를 끊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영향을 예측한 가장 공신력 있는 문헌인 IPCC 평가보고서 1-6에서 다룬 기후변화 영향을 대상으로 네트워크 분석과 토픽 분석을 통하여 관찰한 결과, 사회 파급효과가 클 가능성이 높은 기후변화의 5대 영향 영역으로 수자원 관리, 해양환경 보전, 기후보건, 자연재난 대응, 식량 공급을 도출했다.
◇기후변화 영향에 관한 토픽 분석결과
기후 영향 내용을 담은 텍스트를 모아 이를 대상으로 토픽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분석 방법은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를 사용한결과, 파급력이 높은 기후변화 5대 영향 영역인 수자원 관리, 해양환경 보전, 기후보건, 자연재난 대응, 식량 공급을 바탕으로 기후변화영향 영역에 대한 입법 활동 집중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의안 발의 현황을 분석했으며, 파급력이 클 것으로 예상되나 법안 발의가 없거나 미흡한 영역으로 기후보건, 식량 공급, 자연재난 대응의 3대 영역이 도출됐다.
김은아 그룹장은 “모든 정책영역에서 기후변화가 주요 의제가 되기 어렵다는 현실을 고려할 때 기후변화 적응력을 향상하기 위한 주요 정책의 이행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하여 기후변화 적응법 제정을 고려해볼 수 있으며, 파급력이 높은 기후변화 영향 영역에 대한 입법 아젠더를 분석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