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술은 이미 산업화에 적용되고 있다"
석유탱크의 ‘뚜껑에 비추어진 그림자’를 분석…석유비축량 파악 Orbital Insight GO, 커스터마이즈 정보 제공 제조이력과 유통과정을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트레이서빌리티’ 기능 멀티클래스 물체 검출 알고리즘으로 포괄적인 모니터링 가능
소프트웨어가 아무리 효율적이더라도 쉽게 관리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데이터가 생성되고 있다. 그리고 더 많은 데이터를 필터링하기 위해 더 많은 소프트웨어가 필 요한 경우 "데이터가 세상을 먹어 치워야 했던 소프트웨어를 질식시키고 있다". -by Marc Andressen
오늘날 기업은 폭격을 가하는 모든 데이터를 샅샅이 조사할 수 있는 더 우수하고 효율적인 방법을 원한다. 아무도 나에게 데이터가 더 필요하다고 말하지 않고 너무 많다고 불평한다. 실리콘 밸리의 스타트업 기업인 'Orbital Insight'는 2013년에 창업해, 2018년에는 최초의 해외 거점으로서 기업과 협업하면서 어떻게 접목을 했는지 해외 자료를 통해서 새로운 기술정보를 알아본다
◇석유탱크의 '뚜껑에 비추어진 그림자'를 AI분석…석유비축량 정보제공
Orbital Insight에 의한 AI 분석의 사례로서 대표적인 것이 소형 위성에 의해 우주에서 촬영된 전세계의 석유 탱크의 영상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기술에 의해 석유 탱크의 뚜껑에 비춰진 그림자를 분석하고, 전세계 석유비축량을 추계하겠다는 대처다. 이 회사는 이 추계 결과를 에너지 관련 기업이나 투자자 등에게 제공하고 있다.
Planet Labs가 운용하고 있는 소형 위성 「Dove」의 관측 데이터를 이용하고 있다. Dove는 10×10×30cm의 소형 위성으로, 상시, 120기 이상의 기체를 끊임없이 주회시킴으로써, 장소를 선택하지 않고 하루에 1회, 동일 지점을 계속해 감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위성을 조합해 협조시켜 움직이는 구조는 "위성 별자리"라고 불리고 있어, 위성 별자리의 발전에 의해, 과거 없을 정도로 위성 데이터를 이용하기 쉬운 환경이 갖추어져 온 것이 위성 데이터 분석 비즈니스의 융성으로 이어지고 있다.
◇Orbital Insight GO, 커스터마이즈 정보 제공
클라우드 도구 'Orbital Insight GO'로 다양한 분석이 가능, 위치 정보 빅데이터도 제공 등 다양한 지리공간 정보를 단시간에 분석을 할 수 있으며, AI 관련 스타트업 기업에 분석 알고리즘을 제공 할 수 한다.
무료 위성 데이터 분석 플랫폼으로는 Google이 제공하는 'Google 어스 엔진'과 사쿠라 인터넷이 경제산업성의 사업으로 전개하고 있는 'Tellus'가 있지만, Orbital Insight GO는 유료 도구로 무료 플랫폼 에서는 제공되지 않는 위성 데이터도 사용할 수 있고, 위성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도 조합할 수 있다.
위성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로서 제공되는 것은 스마트폰에서 취득한 위치 정보 빅 데이터나, AIS(선박 자동 식별 장치)에 의한 선박의 위치 정보 데이터, 커넥티드 카로부터 취득한 위치 정보 데이터 등으로 이 외에 드론이나 IoT로부터 취득한 데이터 등을 커스터마이즈(customization)즉 일종의 맞춤 서비스로 추가할 수도 있다.
◇자동차·선박·비행기 등 '물체'를 감지해 수량 파악하는 기능
Orbital Insight GO에 의한 위성 데이터의 분석 기능으로는 자동차나 비행기, 선박 등의 물체를 감지하고, 수량을 세는 기능이나, 검출한 대상물의 종류를 분류하는 기능 등을 탑재하고 있다.
또, 삼림이나 하천, 건물 등을 색으로 나누어 토지의 이익 활용의 분석을 실시할 수 있는 것 외에, 홍수 등 재해가 발생했을 때에 범람한 범위를 특정하거나, 삼림 벌채가 행해지고 있는 구역을 검출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과거와 현재의 이미지의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건설의 진행 상황을 조사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조이력과 유통과정을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트레이서빌리티' 기능
위치 정보 데이터와 조합하여 「공급 체인 감시」로 활용 사람이나 차 등이 어디에서 왔는지를 과거에 거슬러 올라가 추측·분석할 수 있는 트레이서빌리티(Traceability) 기능도 탑재하고 있다.
예를 들어 소비재 메이커 유니레버에서는 인도네시아와 브라질의 팜유 농원에서 공급망을 가시화하기 위해 Orbital Insight GO를 활용하고 있다. 팜유 공장을 방문하는 사람이나 트럭이 어느 농장에서 왔는지, 지정된 농장에서 오는지 추측할 수 있는 것 외에 위성 데이터를 조합하는 것으로, 삼림의 불법 벌채를 실시하고 있지 않은지 어떤지 를 확인할 수도 있다.
공급망 감시는 팜유나 코튼 외에 반도체 제조 등에 대해서도 활용할 수 있으며 공장 내 인류 데이터를 바탕으로 생산량을 추측할 수 있으며 공장에서 항구로의 수송 등도 추적 할 수 있다. 공급망 감시를 현지에서 조사회사에 의지하여 리서치시키는 것도 가능하지만, 위성 데이터나 모바일 로케이션 데이터를 활용하는 편이 보다 실시간이고 저비용으로 감시를 할 수 있다.
◇멀티클래스 물체 검출 알고리즘으로 포괄적인 모니터링 가능
멀티클래스 물체 검출 알고리즘이 선박?항공기?차량의 종별까지 식별 이 알고리즘은 항공기에 대해서는 전투기, 폭격기, 헬리콥터, 민간 제트기 등의 검출·식별, 선박에 관해서는 배, 화물선, 어선, 그 외의 선박의 식별을 실시할 수 있다. 차량 검출에서는 승용차, 트럭, 철도 차량을 구별할 수 있다.
선박이라면 항만에 정박하는 선박의 수송 상황 등을 보다 상세하게 분석하는 것이 가능해져, 정밀도가 높은 경제 분석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선박의 검출 기술을, 방위 분야에 살리거나, 수상한 선박을 검지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이러한 데이터와 분석 알고리즘을 조합함으로써, 예를 들어 인프라 건설에 있어서는, 위성 사진으로 건축물의 건설 진행 상황을 감시해, AIS로 물자 조달 상황을 파악, 모바일 로케이션 데이터로 공사 요원의 수를 파악하는 등 상황에 포괄적인 모니터링을 할 수 있다.
◇금융 업계도 '얼터너티브 데이터' 도입
Orbital Insight의 서비스가 활용되고 있는 분야로는 유니레버 사례와 같은 공급망 감시와 방위·인텔리전스(정보 수집), 부동산, 금융 등의 분야를 들 수 있다. 금융 분야에서는 일본의 미쓰이 스미토모 은행(SMBC)과 전략적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하고, 미쓰이스미토모 은행(SMBC)에 의한 위성 데이터 분석 서비스 '지오미에르'가 2020년에 스타트하고 있다.
지오미에르는 위성 데이터를 활용하여 인류나 차량수, 토지·건물의 상황을 가시화하고 분석 리포트로 제공하는 서비스로 출점 계획이나 기존 가게의 매출 변화 요인 분석 등 마케팅과 정보 분석, 도시 개발 , 소유지 모니터링 등에 활용을 상정하고 있다.
금융 분야에 있어서, 지금까지 전통적으로 사용되고 있던 기업의 재무 정보나 정부의 통계 데이터에 대해서, 위치 정보나 SNS 정보, POS 데이터, 신용 카드 데이터 등, 종래는 그다지 활용되어 오지 않았던 데이터는 "얼터너티브 데이터(alternative data)"라고 불리며 정책과 경영, 투자 등의 판단 재료로 활용하는 움직임이 진행되고 있다.
위성 데이터도 얼터너티브 데이터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으며, SMBC처럼 우주 분야와는 관련이 얇은 기업이 이 분야에 진입하는 움직임이 나오고 있다. 위성 데이터의 강점은 국경에 관계없이 글로벌하게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미지이기 때문에 알기 쉽고, 거기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