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4년간 도어관련 결함 1,870건…해외에서도 동일 결함 나타나"
도어트림, 도어핸들, 단차 문제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 교통안전공단 제공자료 분석 결과, 제작 공정상의 문제점 발견 해외에서도 결함 나타나
테슬라가 지난 4년간 도어관련 결함으로 무상점검·수리에 나선 건수가 1,870건으로 나타났다. 2017년 6월 테슬라S를 시작으로 판매에 나선 이후 4년간 판매량(26,798대) 대비 6.7%의 결함 발생률을 보였다. 매년 평균 468건의 도어관련 수리를 받은 것이다.
한국교통공단이 더불어민주당 전용기 의원실에 제출한 테슬라 관련 결함신고/무상점검·수리 내역(2017.6.28.~2021.7.31.)을 <소비자주권시민회의>가 의원실로부터 입수해 분석한 결과다.
차종별로 보면, 테슬라 모델S는 전체 도어관련 결함의 38%인 711건의 수리를 받았다. 모델3이 591건(31.6%)으로 뒤를 이었고, 모델X는 429건(23%), 모델Y는 139건(7.4%)으로 나타났다.
유형별로 가장 많은 결함 수리를 진행한 것은 도어핸들 문제로 602건(32.6%)을 기록했다. 도어핸들(문 손잡이)은 차량안전에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다. 차량 손잡이가 터치 방식으로 되어 있는 테슬라의 경우, 사고나 응급상황이 발생하면 문을 여닫을 수 없는 문제가 생긴다.
다음으로 도어 안쪽의 잠금장치, 스피커, 창문장치 등을 덮고 있는 도어트림 문제가 258건(13.8%), 문짝 사이 부품 균형, 문짝과 문짝 사이 어긋남 현상으로 인한 도어단차 문제가 188건(10.1%)으로 나타났다. 단차는 설계, 가공 및 조립 단계에서의 품질문제로 움직임 불량, 소음 등을 유발하고 자동차의 뼈대를 이루는 안전에 중요한 부분이다.
도어가 위로 열리는 방식인 팔콘도어(123건/6.6%) 문제와 도어소음(93건/5%) 문제도 심각했다. 이외에도 벨트/실링/윈도우/몰딩/스피커/스위치/오염/체커/도어락/레귤레이터 등 각종 문제 인한 결함이 367건(19.6%)에 이른다.
조사결과 테슬라가 자사 전기차를 제작·조립하는 공정상에 상당한 문제가 있음이 드러났다. 출고 과정에서 검수가 제대로 진행되지 않고 차량이 소비자에게 인도되고 있다는 우려가 크다.
그렇다고 테슬라의 사후 서비스가 좋은 것도 아니다. 테슬라는 국내에서 총 7개의 서비스센터를 운영 중이며 그 중 서울에만 3개의 센터가 입점해있다. 서비스센터가 없는 지역에 거주하는 소비자들은 결함 발생 시 많은 시간과 먼 거리를 이동해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
테슬라는 국내 수입전기차 시장의 80.8%를 점유하고 있다. 그럼에도 도어개폐 문제, 주행거리 은폐, 표시 광고 위반, 모델Y 누수 은폐 등 많은 문제를 보여줬다. 품질 향상을 위한 노력 없이 자사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비윤리적 영업활동을 지속한다면 소비자는 테슬라를 외면하게 될 것이다.
자동차의 품질은 안전과 직결된다. 테슬라는 완성 단계에서의 철저한 검수 과정을 통해 불량률을 낮추고, 문제 발생시 자발적 리콜을 실행해 자사 차량에 대해 세심한 관리와 책임을 다해야 한다. 소비자들도 고가의 테슬라 차량에 결함이 발생하면 경제적·정신적 고통이 상당한 만큼, 차량을 인도받을 때 철저한 확인 이후에 인수증에 서명해야 할 것이다.
한편 미국 분석 그룹 및 소비자 조직 'JD Powers'의 품질 평가에도 테슬라 모델에 대한 평가도 반영되었다. 평가 보고서 는 여러 브랜드의 품질 불만 건수를 비교하며 Tesla는 차량 100대당 불만 250건으로 꼴찌였다.
'JD Powers' 는 몇 달 동안 관련 포럼과 블로그는 최근 출시된 Model Y의 품질 결함에 대해 내용을 다루었다. 차체 도장 손상부터 안전 벨트가 제대로 설치되지 않은 안전 관련 결함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