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계획 "한·일간 실무 브리핑 세션 개최"

한·일 과장급 화상면담… 실시계획 관련 내용 질의·응답 도쿄전력, 2023년 4월 이후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 바다 방류 계획

2022-01-20     이호선 기자


한국 정부는 19일, 도쿄 전력이 작년 12월에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의 처리 끝난 오염수를 해양 방출하기 위한 실시 계획의 심사를 원자력 규제 위원회(NRA)에 제출한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의 해양방류 설비 등 관련 실시계획에 대해 한일 간 브리핑 세션을 가졌다고 밝혔다.

이번 브리핑 세션에 우리측에서는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대응 관계부처 TF 산하 5개 부처(국무조정실, 외교부, 원자력안전위원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해양수산부), 일본측에서는 외무성, 자원에너지청, 도쿄전력이 각각 참여했다.

브리핑 세션은 도쿄전력이 제출한 실시계획에 대한 일본 측의 설명과 우리 측 질의 및 일본 측 답변으로 진행됐다.

한국 정부는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의 검토 내용에 따라 기술적인 의문점을 지적하고, 이러한 문제를 더 검토하기 위한 자료를 일본 측에 요구했다.

도쿄전력이 제출한 실시계획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를 해양에 방류하는데 필요한 희석·방출설비 및 관련시설, 방사선 영향평가 등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고, 우리측 원안위는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의 안전성 검토팀을 통해 실시계획에 대한 기술적 검토를 진행해 오고 있다.

브리핑 세션에서 우리측은 도쿄전력이 제출한 실시계획에 대한 관계부처 및 유관기관 전문가의 일차적 검토 결과를 바탕으로 기술적 의문점들을 제기하고, 추가 검토를 위한 자료를 요구했다.

또한 일본측이 충분한 협의 없이 해양방류 추진을 위한 절차를 강행하고 있는데 대해 재차 우려를 표명하면서, 오염수 처분 계획 전반에 대해 양국 간 충분하고 실질적인 논의의 필요성을 강조했다고 밝혔다.

정부 관계자는 "일본이 충분한 협의 없이 해양방출 추진을 위한 절차를 강행하고 있는 것에 거듭 우려 를 표명했다"며 "오염수 처분계획 전반에 대해 양국 사이에 충분하고 실질적인 논의를 할 필요성을 강조했다”고 설명했다.

또 "앞으로도 관계부처 TF를 중심으로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문제에 대해 국민 건강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적극 대응해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편 도쿄전력은 지난해 6월부터 해양 방류를 위한 설비, 해저 터널 등 공사를 시작해 2023년 4월 중순 공사를 마친고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 바다 방류를 한다는 계획이다.

일본 정부는 녹아내린 핵연료(데브리)를 식히기 위해 발생하는 방사성 오염수를 다핵종제거설비(ALPS)로 여과한 후 해양 방류하겠다는 방침이다.

도쿄전력은 'ALPS 처리수의 해양 방출과 관련된 방사선 영향 평가 보고서' 에서 방사성 물질의 해양 확산 시뮬레이션을 실시해, 3개의 탱크군과 가상의 ALPS 처리수의 핵종 조성(탄소 14,은 110m, 카드뮴 113m 등 사람에게 피폭 영향이 큰 9개의 핵종을 선정)의 4개의 케이스에 대해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을 평가, '모든 케이스에서 일반 대중의 선량 한도 및 국내의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선량 목표치를 하외했다'고 평가하고, 해양 생물에의 영향 평가 역시 문제가 없는 수준이라고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