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산업 로봇⑪-3] 휴먼케어 로봇… 비대면 사회에서의 발달과 전망

휴먼케어 서비스 로봇 기술개발 방향

2021-05-23     김문선 기자


전염병 대유행(팬데믹)을 사전에 예방하고 신속하고 안전한 대응을 위한 공공 서비스 수행은 비대면 사회로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로봇에 의한 공공장소 방역 서비스 필요하다. 감염자가 발생했을 때 공공 서비스 제공자가 신속하고 안전하게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전문 방역 및 이송 로봇 시스템 필요하다.

이에 첫번째 자율 살균 및 소독 작업이 가능한 이동형 공간 살균 로봇 개발, 둘째 감염자 이용 공간 방역을 위한 공유 제어 기반 모바일 매니퓰레이터형 UV 살균 로봇 개발, 셋째 감염병 환자 이송을 위한 이동형 스마트 로봇 개발이 필요하다.

감염 위험 현장 내에서 의료진을 지원하여 안전한 치료,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원격 간호 지원 서비스 로봇 시스템은 첫째 감염격리병상 내 감염 환자 간호 관련 물품 운반, 정리 지원 로봇 개발, 둘째 감염격리병상 내 간호를 위한 모니터링 및 커뮤니케이션 로봇 개발이다.

AI 기반 비대면 원격 교육 플랫폼 기술 개발 및 실증은 비대면 온라인 교육 및 에듀테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세계 각국에 휴교령이 내려짐에 따라 각국 정부는 온라인 교육을 통해 교육공백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정보통신기술이 발전하면서 VR, AR, AI,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교육 서비스에 접목한 에듀테크의 성장이 높게 점쳐지고 있다. Tangible Interface 장치 개발 및 AI 기반 Computer Aided Teaching Assistant 플랫폼 기술 개발, 원격 실시간 증강현실 기술과 더불어 원격 실험 및 실습 시 체험 전달을 위한 저가 햅틱 시스템 기술 개발이다.

결론적으로 첫번째 지능, 조작과 관련한 원천 기술 개발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하다. 휴먼케어 로봇의 가장 중요한 기술은 케어를 받는 사람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인식 기반의 지능 기술 개발은 로봇의 실제적인 활용성 증대에 매우 핵심적인 기술임에도 불구하고, 그 중요성이 크게 인식되지 못하였다. 서비스 현장의 상황을 다양한 채널을 통하여 인식하고, 인식된 정보를 바탕으로 적절한 대응이 가능한 로봇 기술의 개발을 위한 정부 및 민간의 투자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로봇용 핸드 및 그리퍼 등으로 대변되는 조작 기술은 로봇이 궁극적으로 달성하고자 하는 기술의 핵심이다. 다양한 로봇용 핸드 및 그리퍼에 대한 기술개발은 많이 이루어졌으며, 현재도 많은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분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 다양한 요구조건에 대응 가능한 조작 Tool은 제시되고 있지 못하다. 서비스 및 제조 현장의 다양한 상황, 비정형 환경, 불규칙한 대상물 등에 원활히 대응할 수 있도록 조작 지능 기술 또는 조작 전략이 함께 동반된 기술 개발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상황을 바탕으로, 로봇 지능 기술 및 조작 기술에 대한 정부차원 중장기 지원이 필요하다.

두번째 서비스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신뢰성 있는 서비스 로봇 개발 시급하다. 서비스 현장의 Business Model을 바탕으로 한 로봇 적용 기술 개발 및 보급이다. 인식, 조작, 이동, HRI 등 휴먼케어 서비스 로봇에 필요한 기술의 기능적 구현은 일정 부분 달성되었으나, 이러한 기술의 성능을 향상시켜 현장에 적용할 필요 있다.

수요자의 Needs를 바탕으로 한 BM을 먼저 파악하고, 이에 부합하는 휴먼케어 로봇의 개발 및 보급이 필요하다. 고급 기술의 구현보다는 완성도 높은 기술개발 및 로봇을 통한 구현 필요하며, 복잡하고 높은 수준의 기술을 탑재한 로봇의 현장 적용은 안정성이나 신뢰성 측면에서 어려움이 많이 존재하며, 가격 측면에서도 사업화에 어려움이 있다.

사람의 노동 대체, 감성적 지원, 신체적 지원 등의 영역에서 사람의 불편을 해소한다는 방향으로 완성도 높은 기술을 개발하여 로봇에 탑재하고 구현하는 것이 사업화에 유리하다고 본다. 현장 중심, 사용자 요구 중심 및 기술적 완성도 중심의 휴먼케어 로봇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이 현실이다.